어제까지 내리던 비가 말끔히 그쳤다. 무덥던 여름이 지나고 아침저녁으로 부는 바람이 제법 차다. 무덤가 어둠이 알리움 한 송이 내어놓고 큰절을 한다. 새벽별이 구름 낮이로 내려와 인사를 하고, 밤새 울던 풀벌레들이 작별의 울음을 멈춘다. 내 눈 속 눈물샘이 65년을 누워 계신 아버지의 고운 잠을 깨운다. 별똥별이 지던 밤 혼자 울던 아버지는 무덤가 풀잎들을 토닥이며, 이제 그만 고향 나주 영산포를 떠나 분당 메모리얼파크에 잠들어 계신 어머니 곁으로 가겠다고, 첫눈 오기 전 어서, 아들 따라가겠다고, 헐거운 핫바지를 주섬주섬 추켜올리신다.
그동안 참 많은 생각을 했다. 아버지와 어머니의 산소가 떨어져 있어 매년 합장을 꿈꿔 왔으나 예로부터 조상의 묘는 함부로 손대지 말라는 전통적 민간신앙 때문에 가족 합의가 쉽지 않았다. 생각 같아선 좋은 곳으로 모시는 일이기에 별문제 없을 것 같지만, 농경문화에 뿌리박힌 조상 숭배의 관습은 쉽게 넘기 힘든 심리적 불안의 장벽이었다. 그러나 그 불안은 마음이 만들어 낸 그림자일 뿐, 부모님에 대한 사랑이 그 불안보다 크다면 그것은 한낱 기우에 지나지 않으리라는 믿음으로 합장을 결심하게 되었다.
파묘는 새벽 다섯 시에 시작했다. 나주 장의사 배상호 씨는 삽자루가 죄송한 듯, 아버지의 묘를 가볍게 두드리며 파묘요! 파묘요! 파묘요! 하고 세 번 예를 갖춘 후 작업을 시작했다. 삽으로 진행된 파묘는 더디고 조심스러웠다. 한 삽, 또 한 삽 퍼낸 흙 속에서 아버지의 고단한 숨소리가 새어 나오고, 그 숨결 따라 내 눈물이 마중을 했다. 얼마나 팠을까. 동이 틀 무렵, 빈농의 설움을 안고 떠나셨던 아버지의 육신이 모습을 드러냈다. 한 톨의 보리밥조차 귀했던 시절, 일제의 수탈과 6·25 전쟁으로 가난이 끼니였던 그날의 아버지가 순금처럼 환하게 웃고 계셨다. 65년이 지났음에도 검은빛 하나 없이 곱게 누워 계셨다. 1911년에 태어나시어 1960년 11월 7일, 49세 나이로 별이 되신 아버지의 육신을 바라본 동생과 나는 눈시울을 붉혔다. 동생이 네 살, 내가 여섯 살 때 돌아가신 아버지, 어쩌면 생전의 모습이 사진 한 장 남아있지 않아 애타게 그리웠던 우리 아버지, 동지섣달 허기진 배를 동치미 국물로 채우시며 물새 같은 자식을 낳아 이 세상 빛을 보게 해주신 아버지와의 상봉은 불효의 눈물밖에 도리가 없었다.
작업은 7시 30분에 끝났다. 나는 아버지의 유골을 안고, 고향 친구 오치관의 차편으로 광주 영락공원 화장장으로 향했다. 8시로 예약되어 바빴다. 친구는 몇 개의 신호를 무시하며 달렸으나 결국 10분이 늦어 다음 순서가 진행되고 말았다. 사정을 했으나 오후 3시까지 빈틈이 없다고 했다. 화장 순서는 절대 바꿀 수 없는 불문율이라며 곡성 화장장을 안내했다. 곡성은 광주에서 약 50㎞ 떨어져 있어 광주송정역에서 오전 10시 15분 기차를 타기에는 시간이 촉박했다. 친구는 시계를 힐끔 쳐다보더니 곡성으로 핸들을 꺾었다. 가을 햇살이 차창에 닿기도 전 튀어 나가고 가로수들이 쏜살같이 뒤로 달려 나갔다. 과속이었다. 기차를 타려면 방법이 없었다. 친구는 역시 고향 깨복쟁이 친구가 좋았다. 카레이서 못지않은 친구의 운전 솜씨 덕분에 곡성에서 무사히 화장을 마치고 다시 광주로 돌아와 어렵사리 기차에 몸을 실었다.
서울로 오는 동안 동생과 나는 온기가 느껴지는 아버지 유골함을 안고 있었다. 아니, 아버지가 우리를 안고 계셨다. 65년 전 아버지의 품에서 네 살과 여섯 살 어린것들이 눈물로 자라고 있었다. 기차는 정시에 서울 수서역에 도착했다. 그리고 택시로 달려가 분당 메모리얼파크 어머니 곁에 아버지를 평온히 모셨다. "아버지 어머니! 이제 손 꼭 잡고 고향 나주 영산포 홍어도 잡숫고 영산강 꼬막도 잡아 국도 끓여 드세요. 불효한 이 자식, 큰절 올립니다." 나뭇가지 위에서 산까치 두 마리가 애틋하게 부리를 비비며 나를 바라보았다. 청명한 가을 햇살이 온 산을 따뜻하게 품어 주고 있었다.
김재남(시인)
*문화일보(2025.10.23)에 기고한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