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국가도서관위원회에 대한 단상

도서관닷컴 승인 2024.09.02 11:31 | 최종 수정 2024.09.03 15:02 의견 0
사진 출처=국가도서관위원회

9월은 독서의 달이다. 유난히 기승을 부리는 더위에 위기감이 높아지지만 독서열기 만큼은 뜨거워져도 좋겠다.

독서의 계절에 떠오르는 경구가 있다. 오래된 것에서 때때로 미래를 볼 때가 있다. 백년을 이어오는 미국도서관협회(ALA, American Library Association)의 이 오래된 모토가 그렇다.

"최저 비용으로 최대의 다수에게 최선의 독서를"

미국 도서관계가 걸어온 길을 압축한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최선의 독서'가 사회 스스로 사회적 갈등을 줄이고 사회 질서를 보장하도록 유도한다는 뜻으로 다가온다. 이를 실현하는 장을 공공도서관으로 보고 있다.

미국도서관협회는 1935년 국민의 정보접근 개선을 위한 'A National Plan for Libraries(전국도서관계획)'를 발표했다. 이 계획에서 도서관 서비스의 공백 지역 해소, 주별 격차 시정, 국가의 책임, 공립도서관, 학교도서관, 대학도서관 등 도서관에 대한 역량 강화를 강조하고 연방정부의 관여를 요구했다. 3년 후 연방교육국에 도서관서비스부가 창설되자 주정부 내의 도서관 행정조직 설치의 필요성이 대두됐다. 1948년 공공도서관 서비스를 위한 국가계획(A National Plan for Public Library Service)을 발표했다. 핵심은 주 정부의 임무로 주 내에 도서관 담당 행정조직을 두도록 언급했다는 점이다.

1970년 도서관의 진흥과 정보서비스를 연방차원에서 검토하기 위해 공법 91-345에 의거, 'National Commission o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국가도서관‧정보학위원회)'를 설치했다. 대통령이 직접 임명해 구성되는 위원회는 연방 정부의 영구적이고 독립적인 상설 자문위원회로서 정부, 입법부 등에 국민의 도서관정보서비스 요구에 관해 전국의 도서관·정보 정책 대한 자문을 수행한다. 또한 국가 정책 개발을 조정하고 신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기능을 가진다.

1975년 도서관・정보서비스를 위한 8개 국가 프로그램과 실행 목표를 발표했다. 주요 내용은 △모든 지역사회의 요구를 충족하기에 적합한 도서관·정보서비스의 기본 수준 충족 △소외 계층을 포함한 특수 선거구에 적절한 특별 서비스 제공 △기존의 주 전체 서비스와 시스템 강화 △국가프로그램 실행에 따른 필수 인력에 대한 기본 및 지속적 교육 보장 △도서관·정보서비스에 대한 기존 연방 프로그램 조정 △민간부문(직접 세금 지원을 받지 않는 조직으로 구성)의 국가 프로그램 개발에 참여 장려 △국가위원회의 정책지침에 따라 국가 네트워크의 실행 및 국가 프로그램 조정의 책임을 지는 연방 책임의 중심 확립 △전국적인 도서관 및 정보 서비스 네트워크 계획, 개발 및 구현 등이다. 실행 목표의 구현 및 추가 개발은 미국도서관협회와 협력해 진행했다.

한편, 도서관계는 연방 차원의 도서관정책을 이끌어내기 위해 1957년 처음으로 백악관회의를 제안했고, 승인받기까지 20년 이상 각고의 활동을 펼쳤다. 그 결과 제1차 'White House Conference on Library and Information Services'가 1979년 11월 15일부터 19일까지 워싱턴 D.C.에서 열렸다. 각 주에서 사전회의를 거쳐 선발된 806명의 대의원을 포함해 3,600명이 넘게 모여 당시 부상하는 중요한 문제들을 토론하고 64개의 결의안을 채택했다. 주요 내용으로 △공적자금이 지원된 정보에 대한 완전한 접근 △청각 장애인과 장애인을 위한 도서관 직위 마련 △다양한 매체의 자료를 도서관 컬렉션으로 확장 등이 담긴 국가적인 정보 정책을 촉구했다. 또한 이를 구현할 국가도서관 및 정보서비스법의 개요가 포함됐다.

두 번째 백악관회의는 공법 100-382에 따라 1991년 7월 9일부터 13일까지 리터러시, 민주주의 및 생산성을 위한 도서관 및 정보서비스를 주제로 개최됐다. 이 회의를 위해 1990년부터 50개 모든 주와 1개 컬럼비아 특별구역에서 사전회의가 열렸다. 10만 명이 넘는 사전회의 대표단은 도서관 유형별 사서, 주와 지방 공무원, 지역 사회 지도자와 사업가, 교육자와 학생, 그리고 다양한 도서관 이용자와 지지자들의 개인대표 등으로 구성됐다. 참석 규모만으로도 문제 해결을 위한 열망을 강조하고도 남았다. 각 주의 사전회의에서는 자체 결의안을 개발하고 자체 대표단을 선출, 백악관회의를 위해 2,500개가 넘는 결의안을 채택해 워싱턴으로 보냈다. 전국 회의에는 984명의 대표단과 약 1,000명의 명예 대표단, 국제 관계인, 참관인들이 참석했다. 백악관회의의 최대 성과는 연방의 재정지원이 포함된 1984년의 '도서관서비스 및 건설법(LSCA, Library Services and Construction Act)' 개정이다. 일반적으로 연방 정부 1달러는 주 및 지방 정부 수준에서는 20달러에 맞먹는다.

위원회는 최종보고서 'Information 2000:Library and Information Services for the 21st Century'를 대통령에 제출했다. 조지 H. W. 부시 대통령은 이를 의회에 전달하면서 다음과 같이 언급했다.

"점점 더 복잡하고 세계화된 사회에 대응하여… 우리가 더 많은 문해력 있는 시민, 생산성 증가 및 더 강력한 민주주의를 위해 노력함에 따라, 우리는 교육 개혁을 위한 혁명을 이끌 때 도서관 및 정보 서비스가 우리를 도울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도서관 및 정보 서비스는 이 혁명의 중심에 있습니다."

미국 정부는 예술, 인문학, 박물관과 도서관 서비스가 국가의 안녕과 건강, 활력, 민주주의에 필수적이라는 정책 기조를 견지하고 있으며, 연방정부 보조금을 지원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2006년 서울에서 세계도서관정보대회와 제72차 국제도서관협회연맹 연차총회를 개최하고, 사회 저변에 도서관에 대한 인식을 높였다. 아울러 도서관계의 여망이 담긴 도서관법이 전부 개정됨에 따라 2007년 대통령소속의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가 발족했다.

대통령소속의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를 문화체육관광부 소속으로 변경되는 법안이 2년 전에 이어 8월에 정부안으로 다시 발의됐다. 이에 우리나라 도서관계 단체와 도서관인들은 반대 성명서를 발표하는 등 큰 우려를 표명하고 있다.

평생 도서관인으로 천착해온 필자로서는 좀처럼 물러서지 않는 더위만큼이나 만감이 교차하는 요즘이다.

이재선 선임기자

저작권자 ⓒ 도서관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